푸른여우의 영화 이야기/내가 본 영화들

'셜리에 관한 모든 것'...호퍼 작품 13점을 동영상으로 보다

bluefox61 2013. 12. 30. 17:13

오래전 뉴욕 현대미술관(모마)에서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을 본 적이 있습니다. '주유소'라는 작품이었지요.

별로 크기가 크지 않은 작품이었는데, 화집에서만 봤던 호퍼의 작품을 실제로 보면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바로 강렬한 색감이었습니다. 어느 시골 마을 길가의 한적한 주유소에 어둠이 막 내려 앉기 시작하는 순간을 그린 작품은 사진으로만 보면서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밝고 강렬한 색감을 지니고 있었죠. 그 강한 색감 때문에 더 고독하게 느껴졌던 듯합니다. 마치 데이비드 린치의 영화 속에서 한낮의 찬란한 태양빛을 받고 있는 아름다운 풍광이 더 공포스럽게 느껴지듯이 말입니다.

 

오스트리아 감독 구스타브 도이치의 영화 '셜리에 관한 모든 것(원제는 'Shirley: Vision of Reality') '은 근래 본 영화들 중 실험적인 발상이 가장 돋보이는 작품이었습니다. 영화를 많이 보다 보면, 왠만해서는 신선하다고 생각되는 작품을 만나기가 쉽지 않은데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은 로튼토마토 식의 표현을 쓰자면 '신선도 100%'의 작품이었습니다. 에드워드 호퍼 작품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왜 이렇게 개봉관 숫자가 적을까..하는 의구심도 영화를 보니 이해가 됐고요.  실험성이 강해서 , 솔직히 대중적이지는 않은 작품이더군요.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은 20세기 초중반 미국 리얼리즘 계열 화가인 에드워드 호퍼의 작품 13편을 소재로

1930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미국 사회와 셜리라는 여성의 삶을 하나로 녹여내고 있습니다.

 

대개 유명화가가 남긴 그림을 영화 소재로 삼을 때는 화가의 삶을 그려나가면서 해당 그림이 어떻게 그려지게 됐는지를 묘사하는 방식이 일반적인데 (예: 영화 '진주귀걸이를 한 소녀')

도이치 감독은 그림 그 자체를 재연하면서 상상의 이야기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영화를 만들었습니다.

 

영화의 모든 장면은 호퍼 그림을 그대로 세트를 만든 다음 배우가 그 세트 안에서 극히 제한적인 동작만으로 셜리란 여성의 내면을 연기하는 방식으로 이뤄져있습니다. 그러니까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실사영화인 것이지요.

호퍼 그림의 색감은 물론이고 광선의 각도까지 완벽하게 재연해낸 장면들은 기가 막힐 정도로 정교합니다.

 

물론 호퍼 작품이 모두 등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셜리라는 한명의 여성의 삶을 연결할 수있는 작품 13점만 영화에 나오지요. 30년대부터 60년대까지 시대를 다루고 있기는 하지만 , 주인공 셜리는 그림 속의 여자가 그렇듯이 나이를 먹지 않습니다. 영화가 형식적으로는  셜리의 삶을 소재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보다 감독이 더 중점을 두는 것은 호퍼가 각 그림을 그렸을 당시의 미국 사회상( 예를 들어 한국전쟁, 매카시 공산주의자 색출 파문, 엘리아 카잔 감독의 배신, 케네디 당선, 킹 목사의 '나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 등등), 그리고 사회와 인간의 관계를 고찰하는데 있기 때문입니다.  

 

영화의 주인공 셜리는 ' 그룹 시어터'라는 극단에 소속된 배우입니다.

영화가 시작되면 셜리가 1931년 8월의 어느날 프랑스 파리의 한 작은 호텔에 있는 장면이 비춰집니다.

보이스오버로 들리는 대사로 추정해보면, 셜리는 지금 연극배우를 계속할 것인지 말 것인지를 고민합니다.

속옷 만 입고 침대에 앉아 공연 팸프렛을 뒤적이면서 , 셜리는 속 말을 합니다.

"여기서 일주일 있고, 나머지 일주일은 해변가에서 보낸 다음  돌아가야겠지. 가면 내가 잘 적응할 수있을까"

셜리가 호텔방에 앉거나 누워서 고민하는 장면은 호퍼의 <호텔방>을 그대로 재연한 것입니다.

 

  <영화(위)와 호퍼의 그림 '호텔방(1931)'. 셜리의 적갈색 머리칼 위에 떨어지는 조명등의 불빛, 초록색 의자의 그림자 각도 등을 비교해보십시오. >

 

셜리는 대공황기에 극단 일자리가 없어지자 신문사 광고부에 취직하기도 합니다. 심지어 영화관 안내원으로 일하기도 하지요. 연극만큼 영화를 좋아하기 때문에 , 지금의 일도 셜리는 감수할 수있습니다. 언젠가는 다시 연극무대로 돌아갈 수있다는 희망이 있기때문이죠.

사무실 장면('밤의 사무실') 에서 셜리는 속으로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메소드 연기를 해봐선지, 사무실에서 일하는 것도 연기하는 것같아.나중에 연기할때 지금 경험이 도움이 되겠지? "

 

<영화 장면(위)과 호퍼 그림 '룸 인 뉴욕(1932)'.  영화 속에서 셜리는 피아노 앞에 앉아있고, 애인 스티브는 밖에 나갔다 돌아와 신문을 읽습니다. 셜리는 신문기자인 스티브가 일하러 나갔다 왔다고 했지만, 사실은 일자리를 잃었고 빵배급을 받고 왔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요. 그를 떠날 것인가 말 것인가 셜리는 속으로 고민합니다.>

 

 

 <영화 장면(위)과 호퍼 그림 ' 뉴욕 무비(1939)' . 이 장면에서 셜리는 극단을 나와 밥벌이로 영화관 안내원 일을 하는데 머리칼도 금발로 염색했습니다. 영화 속에서 감독은 그림에는 없는 영화 스크린을 조금 더 많이 보여주는데 영화에 대한 호퍼의 애정에 경의를 표하기 위해서일까요...  이 그림이 그려졌을 당시 누아르 영화들을 찾아보니, 험프리 보가트 주연, 윌리엄 와일러 감독의 1937년작 '데드 엔드'의 한장면이네요.^^. 보가트의 억양이 워낙 특이해서, 이 장면을 보는 동안에도 정확한 영화 제목은 알 수없지만 보가트가 나오는 누아르 영화인 것은 금방 눈치를 채겠더군요.>

 

 

셜리는 뉴욕을 떠나 케이프코드 해변가 집에서 지내기도 하고, 신문사 사진기자인 애인 스티브와의 관계를 고민하기도 하며, 매카시 청문회에 나가 연극계 동료들을 배신하는 증언을 한 엘리아 카잔에 분노하고,

킹 목사의 연설을 라디오로 들으며 공감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장면, 1960년대 어느날 셜리는 기차에 앉아 어디론가 갑니다.

무릎에는 '에밀리 디킨슨'전기 책이 놓여있습니다.

다시 셜리가 이야기합니다.

"그래, 다시 시작하는거야.  그룹시어터와 함께 공연하면서 로마에도 가는거야"

 

<영화 장면(위)과 호퍼 그림 '체어 카(Chair Car.1965년)'. 차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각도,  빨간 속 옷을 입은 여자가 셜리를 바라보는 시선의 각도 등이 정교하게 일치합니다>

 

감독은 시대변화 속에서 강인하게 살아가는 여성을 그려보고 싶었다고 한 인터뷰에서 말했습니다. 30년대부터 60년대를 살아가는 셜리는 분명 그 시대 미국의 전통적인 여성상은 아니지요. 자기 일에 대한 확고한 소신과 정열이 있고, 사회이슈에도 아주 민감합니다. 밥벌이를 하는 순간에도 "나중에 연기에 도움이 될거야"라고 생각할 정도이지요.

 

감독은 호퍼를 영화 소재로 택한 이유로 첫번째 , 호퍼 그림이 보여주는 프레임이나 광선 등이  필름누아르 등 영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 흥미로왔고, 두번째는 리얼리스트 화가로서 단순히 있는 그대로 그림을 그리는게 아니라 마치 삶의 한 순간을 무대 위에 구현하는 듯한 스타일에 끌렸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셜리의 모든 것'은 단순히 영화라기보다는 , 13개의 막으로 나뉘어진 연극같은 느낌이지요.

 

 < '셜리에 관한 모든 것'의 세트장과 영화의 장면. 그리고 그림 >

 

 

이 영화에서 비주얼과 대사 이외에 흥미로운 또하나의 요소는 바로 사운드입니다.

감독은 각 장면마다 , 다양한 사운드를 창조해냅니다.

단순히 음악을 들려주는게 아니라 자동차 소음, 갈매기가 지저귀는 소리, 기차소리, 비바람이 부는 소리, 라디오로 들리는 킹 목사의 연설 소리 등을 들려주는 것이지요.

무언의 그림을 보고, 이런 사운드를 만들어낸 감독의 뛰어난 상상력에 감탄하게 됩니다.

 

거의 정지화면에 가까운 연기를 해낸 여주인공 역의 스테파니 커밍의 연기도 뛰어납니다.

원래 댄서 출신으로 실험적인 몇몇 영화에 출연한 적도 있다고 하는데,

역시 춤을 추던 사람이어선지 우아한 동작이 돋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