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여우의 세상 이야기/내가 본 세계

팔레스타인, 유네스코 가입

bluefox61 2011. 11. 1. 12:10
팔레스타인의 유네스코(UNESCO·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 가입이 거센 후폭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은 31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의 정회원 가입안이 가결된 데 대해 강력히 반발해 재정적 지원중단을 정식발표했으며, 중국과 러시아는 이달 중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치러질 팔레스타인 가입신청안을 놓고 미국과 2차 대결을 예고하고 있다. 팔레스타인은 유네스코 가입과 동시에 동예루살렘 내 이슬람 유적지에 대해 자국의 이름으로 세계문화유산 신청을 할 예정이어서, 이슬람교와 유대교 및 기독교 문화재를 둘러싼 '문화전쟁'이 격화될 전망이다.

빅토리아 눌런드 미 국무부 대변인은 31일 정례브리핑에서 유네스코에 대한 재정적 지원중단이 결정됨에 따라, 11월중 유네스코에 제공하려던 6000만달러의 지원금을 집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미국은 유네스코 연간 총예산 6억5300만달러의 약 22%에 해당하는 약8000만달러를 지원해오고 있다. 눌런드 대변인은 유네스코가 팔레스타인의 정회원 가입안을 가결한 것에 대해 "시기상조'로 유감을 표명했다. 

AP, AFP통신 등은 미국의 유네스코 지원중단은 1990년대 친이스라엘 성향의 미국 의회가 팔레스타인을 정회원국으로 받아들이는 유엔 산하 기구에 대한 지원금 중단을 규정한 법을 통과시킨데 근거로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31일 유네스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 정회원 가입안은 193개 전체 회원국 중 173개국이 참여한 가운데 찬성 107표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어 팔레스타인 정회원 가입안이 통과됐다. 반대표를 던진 국가는 미국, 이스라엘, 독일,호주,캐나다 등 14개국에 불과했다. 반면 중국,러시아, 프랑스 등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3개국과 브라질, 인도, 남아공 등 신흥경제국들이 대거 찬성표를 던졌다. 미국의 맹방인 영국은 기권해, 곧 열린 유엔 안보리 팔레스타인 가입 표결에서도 거부권을 포기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유엔 산하기구들 중 유네스코가 가장 먼저 팔레스타인을 정회원국으로 받아들일 수있었던 것은 표결절차의 독립성과 평등성 때문이다. 유엔 정회원국 가입은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들 중 1개국이라도 거부권을 행사하면 불가능하지만, 유네스코는 모든 회원국들에게 동등한 표결권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정회원 가입 등 핵심안건들도 의결정족수인 3분의 2 찬성표만 얻으면 통과된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를 지배하는 무장정파 하마스와 이스라엘 정부 간의 대규모 포로교환으로 인해 정치적 수세에 몰리는 듯했던 마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은 이번 유네스코 가입 성공으로 국내외적으로 기반을 강화하는 성과도 올리게 됐다.


유네스코는 미국, 이스라엘, 팔레스타인과 뿌리깊은 악연의 역사를 갖고 있다. 지난 1974년 유네스코는 요르단강 서안 예루살렘을 점령한 이스라엘이 오마르사원(황금돔사원) ,알아크사 사원 등 이슬람과 유대교, 기독교 성지들이 있는 '템플마운튼(아랍어로 하람 알 샤리프)' 탐사한다면서 오히려 훼손하자 회원국 박탈을 추진했다.당시 미국은 지원금 4000만달러 중단을 위협했고, 결국 유네스코는3년뒤인 77년 달러의 힘에 항복해 이스라엘을 다시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때인 1984년 미국은 유네스코 지원금 중단과 탈퇴를 선언했다.유네스코가  제3세계 독재 , 공산국가들의 반서구주의에 휘둘리고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미국은 2003년 "조직개선이 이뤄졌다"면서 재가입을 선언할 때까지 19년동안 유네스코와 인연을 끊었다. 영국도 미국의 뒤를 따라 85년 유네스코를 탈퇴했다가 97년 재가입했다.

미국이 팔레스타인의 가입에 항의해 유네스코를 또다시 탈퇴할지 여부는 아직 미지수이다. 미국의 지원금이 중단된만큼 유네스코의 운영에 적지않은 타격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그러나 팔레스타인을 적극 지지하고 있는  중국 등 신흥국 경제파워로 인해 74년, 84년때와 같은 미국 지원금 중단 충격이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리나 보코바 유네코스 사무총장은 표결 후 연설에서 "재정적 안정성 면에서 우려가 예상된다"며 회원국들의 보다 적극적인 기여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