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여우의 세상 이야기/내가 본 세계

아랍의 봄 다음은 아랍의 겨울?

bluefox61 2012. 12. 7. 19:34

지난해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혁명을 이룩한 북아프리카 및 중동 국가들이 혹독한 '아랍의 겨울'을 맞고 있다. 이번 충돌은 이슬람주의와 서구식 민주주의,인권,다양성 등을 요구하는 세속세력 간의 힘 대결이란 점에서, 그 결과가 향후 국제정세에 미칠 영향이 만만치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세속 독재정권이 물러난 아랍권에 '신정(theocracy)'독재가 들어서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집트와 튀니지에서 또다시 가두시위가 격화되는 등, 단순히 '아랍의 봄' 2년차 슬럼프로만 치부하기에는 상황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

 



이른바 '현대판 파라오 법'을 둘러싼 이집트 소요사태는 6일 현재 최소 6명이 사망하고 수백명이 부상당하는 등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이날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은 "8일 야당지도자들과 만나 사태수습방안을 논의하겠다"면서도 15일로 예정된 새헌법 국민투표를 취소하라는 요구는 단호히 일축했다고 알자지라통신 등이 보도했다.무르시 대통령이 국민저항에도 불구하고 대통령 권한강화 등을 골자로 한 새 헌법을 밀어부치는 이유는 과거 호스니 무바라크 정권시절 박해받았던 이슬람주의 회복을 위한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집트의 불안을 더욱 부채질하는 것은 극단적인 이슬람 보수세력으로 꼽히는 살라피주의 세력이다. '무슬림형제단'조차 ' 서구화된 정치조직'으로 비판하는 살라피주의자들은 지난 9월 예언자 무함마드 모독영화를 비난하면서 반미폭력시위를 일으킨 핵심으로 지목되고 있다. 기독교 일파인 콥트교회 및 교도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테러도 살라피주의자들이 주도한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최근 기사에서 "살라피주의자들이 한때 지하드 무장세력이 점하고 있던 정치 공간을 메우고 있다"고 분석한 바있다.

 

'아랍의 봄' 시발지인 튀니지 상황도 심상치않다. 튀니지의 세속세력을 대표하는 노동계는 오는 13일부터 이슬람주의자들이 이끄는 정부에 대항해 총파업을 벌일 예정이다. 튀니지에서는 지난해 민주화 시위로 지네 엘 아비디네 벤 알리 전 대통령 정권이 무너졌으나,  지난해 10월 총선에서 엔나흐다 당이 승리하면서 이슬람주의자들이 이끄는 정부가 구성된 상태이다.  

현지언론들은 이번 시위와 파업은 튀니지 노동연맹 조합원들이 지난 4일 집권당 엔나흐다 당의 지지자 등으로 구성된 과격 이슬람주의자들한테서 공격받는 사건이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리비아에서는 벵가지 주재 미국영사관 피습 및 대사 피살 사건에서 보듯 이슬람 근본주의 테러조직들이 이미 뿌리는 내린 상태이며, 예멘은 알리 압둘라 살레 정권이 축출됐지만 이슬람 율법(샤리아)을 엄격히 따르는 기존 법체계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시리아의 경우 알아사드 정권 몰락 및  내전 종식 이후가 더 문제란 분석이 적지 않다. 반군조직내에 이미 해외 지하드(이슬람 성전)세력이 침투해있는데다가 자국내 '무슬림형제단'파워가 만만치않기 때문이다.


독일 시사주간지 슈피겔, 도이체벨레,러시아 리아노보스티 등은 "아랍의 정신을 둘러싼  포스트 혁명이 진행중"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