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여우의 세상 이야기/내가 본 세계

소치올림픽, 푸틴에게 득될까 독될까

bluefox61 2014. 2. 4. 13:29

오는 7일 개막하는 러시아 소치 동계올림픽은 과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최대 치적이 될 수 있을까. 푸틴 대통령이 장담하듯, 과연 러시아는 소치 동계 올림픽을 통해 '강하고 새로운 러시아'로 발돋움할 수있을까.

 

푸틴 대통령의 호언장담과 달리, 올림픽 이후 러시아 경제와 푸틴 체제가 위기를 맞을 것이란 지적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통해 러시아의 파워를 전 세계에 한껏 자랑하겠다는 것이 푸틴 대통령의 계획이지만, 전문가들은 러시아의 최근 각종 경제지표 등  국내외적으로 직면한 난제들을 고려할 때 푸틴의 정치적 미래가 결코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국제정치학과의 대니얼 트라이스먼 교수는 3일 CNN에 기고한 글에서, 이번 올림픽을 일단 푸틴의 '놀라운 귀환(remarkable comeback)'으로 평가했다. 지난 2012년 대규모 반대시위 속에 세번째 대통령 임기를 시작한 푸틴이 힘든 한 해를 보낸 후 지난 2013년 외교적으로 '도약'에 성공한 가운데 올림픽을 치르게 됐다는 것이다. 


지난해 푸틴은 시리아, 이란 외교 문제에서 미국 등 서방국가들을 견제하며 영향력을 회복했고,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가 국가안보국(NSA) 의 무단 정보수집 파문으로 휘청거리는 와중에 에드워드 스노든의 망명을 전격 허용함으로써 존재감을 과시했다.  


국내적으로는  인권탄압의 논란을 있었지만 반정부 시위가 수그러들면서 체제의 안정을 이룩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하지만, 트라이스먼 교수는 지난 2년간 푸틴 3기 체제가 '내실'보다는 '행운(luck)'에 기댔던 면이 크다는 점에서 , 올림픽 이후 푸틴과 러시아의 미래가 불안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최신호( 1∼7일자)도 트라이스먼 교수와 같은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커버스토리의 제목을 '블라디미르 푸틴의 승리'로 뽑으면서도, 푸틴이 올림픽 이후 뚜렷히 드러나게 될 러시아 경제의 균열을 봉합하지 못할 경우 체제 와해의 위기까지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림픽 이후 푸틴이 가장 먼저 직면하게 될 난제는 천문학적으로 늘어난 올림픽 비용이다. 현재 러시아 정부가 추산하는 소치 동계 올림픽 준비비용은 약 500억 달러( 약 54조 3000억 원). 2012년 영국 런던 올림픽 개최비용의 약 4배로, 러시아 정부의 당초 계획보다 5배나 늘어난 규모이다. 올림픽 역사상 최고 기록이기도 하다. 하지만 러시아 야권에서는 정부의 공식 발표 액수보다 훨씬 많은 돈이 들어갔을 것으로 주장하고 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공식 비용 500억 달러 중 약 3분의 1은 공직자 등 개인이 착복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반푸틴 운동가 알렉세이 나발니는 소치에 세워진 경기장 및 부대 건물들 중 최소 10개 건물의 건축비가 원가보다 50%에서 250%까지 높게 책정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석유와 천연가스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러시아 경제도 문제다. 푸틴은 1,2기 체제 때 높은 오일달러 덕분에 고도 성장을 이룩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위기와 미국의 셰일가스 개발로 인해  최근 국제 유가는 이전보다 떨어진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 의존도는 1980년 67%에서 현재 75%로 늘었다. 오일 달러는 갈수록 줄어드는데 에너지 수출 의존도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수출 경쟁력에도 빨간 불이 들어왔다. 미국과 러시아 간의 교역 규모는 2012년 기준 280억 달러였다. 중국과 러시아 간의 교역 규모는 같은해 870억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과 중국 간의 교역규모가 5550억 달러인 것과 비교해 엄청난 격차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그만큼 러시아 상품이 대외 경쟁력을 잃고 있다는 증거이다. 이코노미스트는 "러시아 경제가 곳곳에서 무너지고 있다"면서 "푸틴이 러시아를 다시 일하게 만들지 못할 경우 체제 붕괴에 직면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